본문 바로가기

Security_News/해외보안소식

드롭박스 관련 공격에 대한 대응 방법 필요

728x90

개요

  • PhishMe社의 조사에 따르면 사이버 범죄자는 가짜 스크린 세이버 형태로 위장한 랜섬웨어를 드롭박스에
    올리고, 이를 다운로드하게끔 유도하는 이메일을 전송하고 있음
  • 사용자는 파일공유 서비스 인 드롭박스를 사용할 때 랜섬웨어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함
    ※ 랜섬웨어 : ‘Ransom(인질의 몸값)’과 ‘Software(소프트웨어)’의 합성어로, 컴퓨터 시스템이나 파일, 
        프로그램을 볼모로 피해자를 위협해 금품을 갈취하는 악성코드
    ※ PhishMe : 미국의 보안컨설팅 업체 중의 하나로 기업을 상대로 피싱에 대한 보안 훈련을 주로 진행하여 
        훈련 결과를 SaaS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대표적인 업체

 

주요내용

  • 공격자는 랜섬웨어를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게 유도하기 위해서 카드 청구서, 보고서 등 다양한 형태로 
    위장하여 사용자를 속이고 있음
  • 사용자가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 된 랜섬웨어를 실행할 경우, 가짜 스크린 세이버로 위장된 파일은 사용자의
    하드디스크에 있는 파일을 암호화하는 악성코드가 실행됨
     - PhishMe社는 자사의 피해자를 조사한 결과, 랜섬웨어에 의해 영향을 받은 파일은 문서, 압축 파일, 
       JPEG를 포함하여 파일이 암호화되었음
  • 랜섬웨어가 실행될 경우, 공격자는 500 Bitcoins을 전자 지갑에 입금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기본 브라우저
    페이지를 통하여 공지함.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입금이 되지 않을 경우 두 배의 금액을 요구함
     - PhishMe 社의 Tokazowski 수석 연구원에 따르면 공격자의 전자 지갑을 추적하여 검사를 한 결과, 
       공격자는 최소 62,000 Bitcoins을 갈취한 것으로 추정됨
    ※ Bitcoin : 2009년 발행을 시작한 가상 디지털 화폐로 온라인 거래상에서 쓰고, 가격은 주식처럼 변동이
        매우 심함. ‘14.6.10일 기준 673,000원/Bitcoin

 

[출처] 
1. http://www.csoonline.com/article/2360670/malware-cybercrime/what-to-avoid-in-dropbox-related-phishing-attack.html
2. http://www.mcts-mcitp.com/2014/06/07/what-to-avoid-in-dropbox-related-phishing-attack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