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curity_News/해외보안소식

새로운 유형의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HijackRAT'

728x90
  • 'Google Service Framework'로 위장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서 백 그라운드로 작동하며 원격 엑세스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신종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음

주요내용

  • 해당 악성코드를 설치할 경우 ‘Google Service Framework’라는 이름으로 설치가 되어 사용자를 속임

악성코드 정보

< 악성코드 정보 >

  • C&C서버에 연결이 되어 공격자가 원격제어를 통해 아래와 같은 행위를 할 수 있음
        - SMS 가로채기 및 메시지 전송
        - 사용자의 연락처 훔치기
        - 악성 앱의 업데이트 진행
        - 설치되어 있는 정상적인 금융 어플리케이션 검색, 다른 악성 앱으로 교체, 가로채기 공격
        -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받기 위해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추가적으로 설치
        - 모바일 보안 소프트웨어 및 백신 솔루션 등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

HijackRAT 악성코드 구조

< HijackRAT 악성코드 구조 >

  • 현재 해당 악성코드는 한국의 8개 금융사를 대상으로 유포가 되고 있지만 공격자가 원하는 금융사의 은행을
    30분 내에 추가 가능함
  • 루트권한을 이용하지 않으면 해당 악성어플리케이션을 기기에서 제거가 불가능함

 

[출처]
1. http://thehackernews.com/2014/07/new-android-malware-hijackrat-attacks.html
2. http://www.theregister.co.uk/2014/07/03/android_nasty_packs_multiple_tricks/
3. http://www.fireeye.com/blog/technical/malware-research/2014/07/the-service-you-cant-refuse-a-secluded-hijackrat.html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