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보안회사 체크포인트 연구원은 GooglePlay 스토어에서 3650만명 가량이 설치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에 악성 광고 클릭 소프트웨어가 삽입되어 있다고 밝힘
주요내용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은 국내 회사에서 제작되어, 쥬디라는 이름이 공통적으로 들어가 쥬디 멀웨어로 명명되었으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노출되는 광고의 클릭수를 조작해 정당하지 않은 수익을 내는 애드웨어 라고 밝힘
쥬디 시리즈 어플리케이션 외에 동일한 멀웨어 코드가 삽입된 어플리케이션도 확인되었으나 연관성은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한 개발자가 다른 개발자로부터 코드를 가져와서 사용했으리라고 추정
쥬디 말웨어에선 Google Bouncer 보호 기능을 우회하는 악성코드를 찾아 볼 수 없었음
- Google Bouncer : GooglePlay 스토어에서 운영 중인 악성 어플리케이션 탐지 시스템
쥬디 멀웨어의 악성 행위 시나리오
1.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작,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등록
2. 피해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3. 설치함과 동시에 피해자 몰래 원격 명령 및 제어 서버와 통신하여 피해자의 기기정보를 등록
4. 원격 명령 및 제어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피해자의 기기에 악성 행위를 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설치
5.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통하여 Google 광고 인프라에서 배너를 찾아 클릭하게 하여 정당하지 않은 수익을 발생시키게 함
시사점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개발사는 애드웨어도 악성코드라는 인식 제고와 개발 소스에 대한 보안 점검이 필요함.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는 앱스토어에서 제공되는 보안 시스템이 악성 어플리케이션을 보호하기 충분하지 않으므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함에 있어 주의가 필요함.
[출처]
1. http://thehackernews.com/2017/05/android-adware-malware.html
2.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5012
'Security_News > 해외보안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Sudo 취약점 패치 (0) | 2017.06.06 |
---|---|
악성 어플로 모든 버전의 안드로이드 기기를 손상 가능 (0) | 2017.06.02 |
아마존 클라우드 서버에 미국 정보기관의 민감 파일이 암호화 없이 저장되어 노출 (0) | 2017.06.02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디펜더 취약점 패치 (0) | 2017.06.02 |
IT시스템 고장으로 영국 항공편 취소 (0) | 2017.06.02 |